데브시스터즈라는 회사를 아시나요? 쿠키런이라는 게임은 아시나요? 아마 쿠키런이라는 게임은 한번은 들어보셨을것 같습니다. 데브시스터즈라는 회사의 주가를 퀀트k를 통해서 전망해보고 , 직원들은 급여 및 스톡옵션을 반기보고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에서는 어떤 게임이 매출이 잘 나오는지도 한번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의 이후 최대 상승 주식을 만나러 가보시죠.
2021년 2분기 실적
쿠키런 킹덤의 신작 효과가 떨어지는걸까요? 2분기 매출은 958억원에 영업이익 197억원 , 당기순이익 160억원을 당성했지만, 전분기 (1분기) 대비 매출은 -9.1% , 영업이익은 -16.15% , 당기순이익 -22.14% 의 실적을 보여줬습니다. 역시 한국형 게임답게 기가막힌 과금시스템(확률형 아이템) 에 따른 논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역대 최고의 상반기 실적으로 매출 2011억 , 영억이익 433억 , 당기순이익 365억원을 냈으며, 마지막에 재무제표를 통해 미래의 컨센서스까지 보면 미래의 실적은 그다지 나쁘지 않아 보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데브시스터즈의 차트
코로나 이후 엄청난 주가 상승을 보여준 종목들이 많은데요. 그중에는 흠슬라라 불리우는 HMM도 있었고 , 두슬라라 불리우던 두산중공업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데브시스터즈에 비하면 새발에 피였습니다.
데브시스터즈는 최저 3875원에서 , 올해 신작게임인 쿠키런 킹덤 히트 이후 주가는 최고 161,000원까지 올라서 , 약 41.5배의 주가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말 그대로 하늘로 치솟아 오른 주가차트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 고점이후 6개월 연속 조정을 보이며 , -55%의 고통스러운 조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단기간에 너무많이 올랐던게 힘이 떨어진 모습입니다. 현재의 주가는 과연 적정할까요? 아님 다시 상승할수 있을까요? 아래에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퀀트k의 데브시스터즈 주가전망
퀀트k에서는 데브시스터즈의 목표주가를 139,600원에서 165,000원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대비 최소 106% 의 주가 상승을 내다 보고 있는 것입니다. 아마도 실적이 좋아서 멀티플을 다른 게임 기업들만큼은 주기를 바라는 관점에서 목표주가가 나온것 같습니다.
미국 앱스토어 게임 매출 순위
우리나라 구글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의 매출 1위는 오딘이라는 게임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작 효과가 사라졌기때문?에 매출의 추가 상승을 이끌어내지 못한듯 합니다. 아직 미국에서는 출시 하지 않았는데, 미국에서 현재 매출이 높은 게임으로 로블록스, 콜오브듀티와 같은 게임도 있지만, 오래된 게임인 클래시 로얄 , 포켓몬고와 같은 게임도 있습니다. 게임의 최대시장중 하나인 미국이나 유럽, 일본에서 흥행을 한다면 데브시스터즈의 매출은 그야말로 날아갈텐데 , 아직은 출시 전이라 전혀 알수가 없습니다.
해외에서 특히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에서 매출이 어느정도 나올지 살펴보고 들어간다면 늦을거 같은데 ,그렇다고 미리들어가기엔 현재 주가가 부담스럽게도 느껴지네요.
데브시스터즈의 재무제표
5년연속 적자를 보던 쿠키런의 데브는 2021년 쿠키런 킹덤으로 홈런을 쳤습니다. 2021년 매출 거의 4000억을 보고 있으며 , 2023년까지 예상치를 보면 매출액 ,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꾸준히 상승할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분명한건 만약 해외에서 중박이상만 터뜨려 준다해도 매출은 조단위로 나와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현재 주가는 미래에서 본다면 나름 싼 구간이라고도 볼수 있지 않을까요?
임직원 스톡옵션 현황
게임이 대박이 난만큼 , 임직원들의 스톡옵션 행사도 있었습니다. 최초 부여 수량대비 많은 수량을 행사하지는 않았는데 , 그래도 거의 70만주에 해당하는 주식을 행사하여 만약에 주식을 모두 처분했다면 , 상당한 수익을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2번째 행사가격 500원에 20만주는 10만원에 처분했다면 , 거의 200억의 수익이 났겠네요. 부럽습니다. 열심히 일한 일한 임직원들에게 당연한 보너스이죠. 열일 하게끔 만드는 원동력이 될수도 있구요.
임직원 급여 현황
이러한 대박 스톡옵션을 뒤로 하고 , 직원들의 편균 급여액은 4,000만원 입니다. 평균 근속연수도 2년 2개월로 굉장히 짧습니다. 적자가 오래 지속된만큼 이렇게 된것 같은데요. 반면 미등기 임원들의 보수는 편균 2억 1천만원입니다. 임원과 직원들과 차이가 꽤 크죠? 그런데 올해 상여로 나간 금액을 보면 그 차이는 훨씬 커짐니다. 역시 수익은 아래로 잘 흘러내려오지 않습니다. 위에서 다 먹어버리지요.
하반기 일본,미국 , 유럽등에 게임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 쿠키런 IP를 통한 무한 확장이 잘 이루어져 포켓몬고와 같은 게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과금체계는 좀 바꿔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한국형 과금체계는 말도 많고 탈도 많습니다. 정말.@
2021년 남은 기간동안 데브시스터즈와 같은 텐배거 이상의 종목을 꼭 찾아 주식을 보유하시길 바랍니다.
성투하세요.
댓글